왕실황실궁능 / 종묘 / 사직단 / 환구단 / 박물관
Daehan Imperial Household
- 왕실황실궁능 / 종묘 / 사직단 / 환구단 / 박물관
- 왕릉황릉
조선왕릉-대한제국황릉
<태조고황제의 건원릉>
1. 조선왕릉의 입지 및 구성
왕릉은 왕과 왕비가 세상을 떠난 후 조성됩니다. 왕과 왕비가 세상을 떠나면 장례를 치르기 위해 국장도감(國葬都監), 빈전도감(殯殿都監), 산릉도감(山陵都監)이라는 임시기관이 설치됩니다.
국장도감은 장례를 치르는 기간(약 5개월)동안 전체 상례에 대한 재정과 문서 등을 관리하고 재궁(梓宮, 관), 크고 작은 가마(대여(大輿) 등), 각종 의장(儀仗)을 제작하며, 발인(發靷)을 총괄하는 기관입니다.
빈전도감은 염습(殮襲), 성빈(成殯), 성복(成服)에 관한 업무와 함께 장례 기간 동안 왕이나 왕비의 신주와 혼백을 관리하는 기관입니다. 특히 빈전도감은 왕릉을 조성한 후 혼전도감으로 이름이 바뀌어 삼년상 후 종묘에 신주를 모십니다(부묘).
산릉도감은 왕릉을 조성하는 기관으로 건물 및 석물제작, 왕릉자리 주변정리 등 능 조성에 필요한 인원관리 및 감독하는 기관입니다. 보통 하나의 능을 완성하는 데에는 약 5개월이 걸리고 능역(陵役)에 동원되는 인원은 6천명에서 많게는 1만 5천명이 필요했습니다.
능지(陵地)는 보통 상지관(相地官)이 택지하게 되는데 능지로서 적합한 자리후보를 선정하고 새로 즉위한 왕에게 천거하여 왕의 재가를 받아 결정합니다. 때로는 왕이 친히 답사하기도 하며 생전에 미리 능지를 선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왕릉입지와 풍수사상
조선왕릉의 입지는 풍수사상에 기초합니다. 왕실과 국가번영을 위해 자연지형을 고려하여 터를 선정하는 것이 필수적인 사항이었습니다. 왕릉은 기본적으로 지형을 거스르지 않는 원칙을 고수했기에 크기나 구성에 있어서 자연친화적이며 주변경관과 잘 어우러지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조선왕릉은 크게는 도읍지인 한양(현 서울) 주변 한강을 중심으로 한강북쪽 산줄기인 한북정맥과 남쪽지형인 한남정맥을 중심으로 택지됐습니다. 그리고 봉분을 중심으로 한 능침공간은 조선의 풍수사상에서 길지로 불리는 사신사(四神砂)가 갖추어진 곳에 조성됐습니다. 이는 배산임수(背山臨水) 지형을 갖춘 곳으로 주산(主山)을 뒤로 하고 그 중허리에 봉분을 이루며 좌우로는 청룡(靑龍, 동)과 백호(白虎, 서)의 산세를 이루고 왕릉 앞쪽으로 물이 흐르며 앞에는 안산(案山)이 멀리는 조산(朝山)이 보이는 겹겹이 중첩되고 위요(圍繞)된 곳입니다.
3. 도성과 가까운 입지조건-효(孝)의 실천
왕릉의 입지선정에는 풍수지리 이외에도 지역적 근접성이 중요했습니다. 즉, 풍수적으로 명당이면서 왕궁이 있던 도성(한양)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곳이 왕릉의 최적지였습니다. 접근성이 중요한 이유는 후왕이 선왕의 능을 자주 참배하여 효를 실천하고자 했기 때문이었습니다.
<도성과 가까운 입지조건의 형태>
4. 조선왕릉의 형식
조선왕릉은 유교예법에 따라 단릉(單陵), 쌍릉(雙陵), 합장릉(合葬陵),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 삼연릉(三連陵)의 여섯 가지 형태로 구성됐습니다.
단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단독으로 조성한 능으로 태조건원릉, 단종장릉, 중종정릉 등 15기가 있습니다.
쌍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하나의 곡장 안에 나란히 조성한 능으로 우상좌하(右上左下, 오른쪽에 왕, 왼쪽에 왕비)의 원칙에 따라 조성됐는데 명종강릉, 영조원릉, 철종예릉 등 9기가 대표적입니다.
합장릉은 왕과 왕비를 하나의 봉분에 합장한 능인데 세종영릉, 인조장릉, 정조건릉 등 8기의 능이 대표적입니다. 영조대왕 이전의 합장릉은 혼유석을 2좌씩 배치했으나 영조대왕 이후에는 혼유석 1좌씩 배치했습니다. 순종황제유릉은 황제와 황후 두 분을 하나의 봉분에 합장한 동봉삼실(同封三室) 합장릉으로 특이한 경우입니다.
동원이강릉은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과 상설을 조성한 능으로 세조광릉, 예종창릉, 성종선릉 등 7기가 대표적입니다. 특이하게도 선조목릉은 세 개의 서로 다른 언덕(선조대왕, 의인왕후, 인목왕후)에 별도의 봉분을 조성했고 숙종명릉은 쌍릉(숙종대왕과 인현왕후)과 단릉(인원왕후)의 형태로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을 조성했습니다.
동원상하릉은 한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위 아래로 조성한 능으로 능혈의 폭이 좁아 왕성한 기가 흐르는 정혈(正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풍수지리적인 이유로 조성됐습니다. 효종영릉과 경종의릉 2기가 해당되며 왕의 능침에만 곡장을 둘렀습니다.
삼연릉은 한 언덕에 왕과 두 명의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능으로 헌종경릉이 유일합니다. 우상좌하(右上左下)의 원칙에 따라 오른쪽(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에 왕을 모시고 첫 번째 왕비(효현성황후)와 두 번째 왕비(효정성황후)를 순서대로 모셨습니다.
5. 조선왕릉의 공간구성
조선왕릉은 진입공간, 제향공간, 능침공간 등 세 공간으로 조성됐고 각 공간은 다음과 같이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진입공간은 왕릉의 시작공간으로 관리자(참봉 또는 영)가 머물면서 왕릉을 관리하고 제향을 준비하는 재실(齋室)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능역으로 들어가기 전 홍살문 앞에는 금천교(禁川橋)라는 석조물이 있는데 ‘건너가는 것을 금하는 다리’라는 뜻으로 금천교 건너편은 특별한 영역 즉 왕과 왕비의 혼령이 머무는 신성한 영역임을 상징합니다. 그 밖에 진입공간 부근에는 음양사상과 풍수사상의 영향을 받은 연지(蓮池)를 조성했습니다.
<왕릉의 구조와 명칭>
제향공간은 산 자(왕)와 죽은 자(능에 계신 왕이나 왕비)의 만남의 공간으로 가장 중심이 되는 건물은 정자각(丁字閣)입니다. 제향공간은 신성한 지역임을 알리는 홍살문[紅箭門]부터 시작됩니다. 홍살문부터 본격적으로 제향의식이 시작되는 지점입니다. 홍살문 옆에는 돌을 깔아 놓은 판위(版位)가 있는데 참배하러 온 왕을 위한 자리입니다. 홍살문 앞부터 정자각까지 이어주는 향로(香路)와 어로(御路)는 박석을 깔아 만든 돌길입니다. 홍살문을 기준으로 왼쪽 약간 높은 길은 향과 축문을 들고 가는 길이라 하여 향로라 했고 오른쪽 낮은 길은 왕이 사용하는 길이라 하여 어로라 했습니다. 일부 왕릉에서는 향·어로 양 옆으로 제관이 걷는 변로(邊路)를 깔아 놓기도 했습니다.
반면에 대한제국 황제의 능인 고종홍릉(洪陵)과 순종유릉(裕陵)은 향로를 중심으로 좌우에 어로가 있습니다. 향·어로 중간 즈음 양 옆으로는 왕릉관리자가 임시로 머무는 수복방(守僕房)과 산릉제례에 필요한 음식을 간단히 데우는 수라간(水刺間)이 있습니다. 정자각에서 제례를 지낸 후 축문은 예감(瘞坎)에서 태워지는데 정자각 뒤 서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조선전기에는 소전대(燒錢臺)가 그 기능을 하였으나 후에 예감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정자각 뒤 동북쪽에는 장방형의 산신석(山神石)이 있는데 산을 주관하는 산신에게 예를 올리는 자리입니다.
<고종광무태황제와 명성태황후의 합장릉인 홍릉>
능침공간은 봉분이 있는 왕릉의 핵심공간으로 왕과 왕비가 잠들어 계신 공간입니다. 능침공간 주변은 소나무로 둘러싸여 있고 능침의 봉분은 원형형태로 태조건원릉을 제외한 모든 능에는 잔디가 덮여있습니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의하면, ‘봉분의 직경은 약 18m, 높이는 약 4m’로 조성하게 되어 있으나 후대로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 평균 직경 약 11m를 이루고 있습니다. 능침공간은 상계(上階)․중계(中階)․하계(下階) 3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6. 조선왕릉의 석물사상
조선왕릉에는 화강석으로 만들어진 인물상과 동물상을 비롯하여 봉분의 둘레와 전면에 능주의 영혼을 위한 의식용 석물들을 배치했습니다. 조선시대 왕릉은 음양사상과 풍수지리를 기본으로 신인(神人)과 신수(神獸), 신비한 힘을 지닌 신령한 도구와 상서로운 물건 등으로 꾸며 능실을 보호하고 왕의 영원한 안식의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습니다. 이와 같은 간절한 기원은 왕릉 주위를 장식하거나 주변에 배치된 석조의례물의 모든 요소에 체계적으로 배어있습니다. 이는 조선왕릉 제도에서 석물의 역할로 또한 한국인의 내세관과 수호사상이 상징적으로 반영된 것이었습니다.
<헌릉-인릉의 석물들>
석물은 거의 능침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왕릉으로서 장엄함을 강조하고 주변 경관과 조형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선조(先祖)의 사후세계를 위한 격조 높은 예술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선왕국 500여 년 동안 42능에 1,300여 점의 조각이 동일한 유형으로 끊임없이 조성되었고 대부분 온전히 보존되어 있어 그 역사적 가치와 예술적 고유성이 매우 높습니다.
7. 조선시대 예술미의 완전한 보존
조선왕릉의 석물조각은 한국미술사에서는 불교조각 이외의 조각품으로 조선시대의 역사와 조각사를 읽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정해진 규범 속에서 조선시대 사후세계에 대한 신앙과 조상숭배사상이 일관되게 표현되었고 현재까지 거의 훼손(도굴)되지 않고 잘 보존되어 있는 문화유산입니다. 조선왕릉이 오늘날까지 잘 보존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왕과 유택에 대한 존엄성을 지켰던 덕택일 뿐만 아니라 왕릉조성과 의식 그리고 부장품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어 도굴로 인한 훼손을 미리 방지하려 했던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8. 조선왕릉의 기록문화
조선은 국가의례로 설정된 흉례(凶禮)에 왕과 왕비의 승하순간부터 성복과 발인, 견전, 안릉, 우제, 졸곡, 소상, 대상, 담제에 이르기까지 총 27개월에 걸쳐 그 의례가 행해졌으며 이후 길례(吉禮)로서 정기적인 제향이 뒤따릅니다. 왕릉의 조성과정은 흉례 속에서 규정됩니다. 조선의 국가의례인 오례(五禮)는 고려의 『상정고금례(詳定古今禮)』를 기초로 중국의 『정관례(貞觀禮)』, 『개원례(開元禮)』, 송(宋)과 명(明)의 의례서(儀禮書)를 참조하여 만들어진 『세종실록(世宗實錄)』『오례의(五禮儀)』와 성종의 『국조오례의』에서 자세하게 갖추어졌습니다.
후왕은 위와 같은 의례를 갖추어 선왕의 국장을 치루고 그 능을 조성하여 왕조의 성역이자 역사의 유산으로 남기려는 의지 속에서 이와 관련한 다양한 기록들을 남겼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실록(實錄)』과 『의궤(儀軌)』, 그리고 『능지(陵誌)』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기록문헌들은 오늘날까지 현존하여 조선왕실의 역사는 물론 제례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는 귀중한 자료가 됩니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태조고황제에서 철종황제까지 472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각 왕별로 기록한 역사서로 왕릉에 관련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의궤』는 조선시대 왕실이나 국가의 주요 행사내용을 정리한 기록으로 장례에 관련한 『국장도감의궤』, 『빈전도감의궤』, 『산릉도감의궤』가 있습니다. 이 중 『산릉도감의궤』는 왕릉을 조성할 당시의 공사준공보고서 성격을 갖는 책으로 왕릉조성을 전후로 논의된 내용 각종 공문 건축에 소용된 물품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능지』는 능역을 지키는 절목과 제례를 행할 때의 절차를 그때그때 기록해 놓은 것으로 능관(陵官)이 소임을 차질 없이 시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침서 역할을 한 책입니다. 대부분 제례와 수호에 관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능역의 위치 및 건물의 규모 운영에 필요한 재정적 요소 등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9. 조선왕릉의 제례문화
조선시대는 유교국가로 제사문화는 국가행사 가운데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에 왕을 비롯한 신하들은 물론 백성에 이르기까지 신성시하여 최선을 다했습니다. 산릉제례는 역대 제왕과 왕후에 대한 제사의식을 지칭하는 것으로 오례의(五禮儀) 가운데 길례(吉禮)에 해당합니다. 산릉제례는 속절제(俗節祭)와 기신제(忌辰祭)로 나눕니다. 속절제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대표 하는 날(정월초, 한식, 단오, 추석, 동지, 섣달 그믐)과 청명(淸明)날에 각 능에서 모시는 제례를 의미하며, 기신제는 왕이나 왕비가 세상을 떠난 날인 기일에 제를 봉행하는 예입니다.
제례를 위한 상차림은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산릉제례의 경우에는 간략하게 진설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음식을 담는 제기는 제기고에 보관하여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산릉제례는 종묘제례와 사직대제와 같은 국가차원의 제사와 마찬가지로 조선후기까지 잘 보존되어 왔고 대한제국 선포 후에는 『국조오례의』를 보완한 『대한예전』에 따라 천자국(황제)의 제례로 실행했습니다.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강점기를 거쳐 광복되기까지 제례는 지속됐고 광복 후 혼란기와 한국전쟁으로 10여 년 동안 중단됐습니다. 이후 1956년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이 조직된 후 제례가 복원됐습니다. 1957년 음력 5월 24일 태조건원릉에서 해방 후 첫 제례가 봉행된 이래 현재까지 제향이 봉행되고 있습니다. 이 원 황태자 전하께서는 조선왕실과 대한제국황실의 황사손으로서 매년 100회가 넘는 제례에 초헌관으로 봉행하고 계십니다.
<초헌관으로 왕릉황릉제례에 봉행하고 계신 황태자 이원 전하>
10. 조선왕릉-대한제국황릉의 종류와 명칭일람표
무덤의 종류 | 구분 |
---|---|
능(陵) | 왕과 왕비, 추존된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무덤 |
원(園) | 왕의 사친(왕을 낳은 후궁이나 왕족), 왕세자와 왕세자빈, 황태자와 황태자비의 무덤 |
묘(墓) | 나머지 왕족(대군, 군, 공주, 옹주, 후궁)과 폐왕의 무덤 |
대 | 능명 | 능주 | 조성연대 | 형태 |
---|---|---|---|---|
1 | 건원릉(健元陵) | 제1대 태조고황제 | 1408년 | 단릉 |
제릉(齊陵) | 제1대 태조 원비 신의고황후 | 1391년 1392년(봉릉) | 단릉 | |
정릉(貞陵) | 제1대 태조 계비 신덕고황후 | 1409년(이장) | 단릉 | |
2 | 후릉(厚陵) | 제2대 정종과 정안왕후 |
왕:1420년 비:1412년 |
쌍릉 |
3 | 헌릉(獻陵) | 제3대 태종과 원경왕후 | 왕:1422년 비:1420년 |
쌍릉 |
4 | 영릉(英陵) | 제4대 세종과 소헌왕후 | 1469년(이장) | 합장릉 |
5 | 현릉(顯陵) | 제5대 문종과 현덕왕후 | 왕:1452년 비:1513년(이장) |
동원이강릉 |
6 | 장릉(莊陵) | 제6대 단종 | 1698년(봉릉) | 단릉 |
사릉(思陵) | 제6대 단종비 정순왕후 | 1531년 1698년(봉릉) | 단릉 | |
7 | 광릉(光陵) | 제7대 세조와 정희왕후 |
왕:1468년 비:1483년 |
동원이강릉 |
추존 | 경릉(敬陵) | 추존 덕종과 소혜왕후 |
왕:1457년 비:1504년 |
동원이강릉 |
8 | 창릉(昌陵) | 제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 |
왕:1470년 비:1499년 |
동원이강릉 |
공릉(恭陵) | 제8대 예종원비 장순왕후 | 1461년 1471년(봉릉) | 단릉 | |
9 | 선릉(宣陵) | 제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 왕:1495년 비:1530년 |
동원이강릉 |
순릉(順陵) | 제9대 성종원비 공혜왕후 | 1474년 | 단릉 | |
10 | 연산군묘 | 제10대 연산군과 거창군부인 | 왕:1512년(이장) 비:1537년 |
쌍분 |
11 | 정릉(靖陵) | 제11대 중종 | 1562년(이장) | 단릉 |
온릉(溫陵) | 제11대 중종원비 단경왕후 | 1557년 1739년(봉릉) | 단릉 | |
희릉(禧陵) | 제11대 중종1계비 장경왕후 | 1537년 (이장) | 단릉 | |
태릉(泰陵) | 제11대 중종2계비 문정왕후 | 1565년 | 단릉 | |
12 | 효릉(孝陵) | 제12대 인종과 인성왕후 | 왕:1545년 비:1578년 |
쌍릉 |
13 | 강릉(康陵) | 제13대 명종과 인순왕후 | 왕:1567년 비:1575년 |
쌍릉 |
14 | 목릉(穆陵) | 제14대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계비 인목왕후 | 왕:1630년(이장) 원비:1600년 계비:1632년 |
동원이강릉 |
15 | 광해군묘 | 제15대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 왕:1641년 비:1623년 |
쌍분 |
추존 | 장릉(章陵) |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 왕:1627년(이장) 비:1626년 1632년(봉릉) |
쌍릉 |
16 | 장릉(長陵) | 제16대 인조와 원비 인렬왕후 | 1731년(이장) | 합장릉 |
휘릉(徽陵) | 제16대 인조계비 장렬왕후 | 1688년 | 단릉 | |
17 | 영릉(寧陵) | 제17대 효종과 인선왕후 | 왕:1673년(이장) 비:1674년 |
동원상하릉 |
18 | 숭릉(崇陵) | 제18대 현종과 명성왕후 | 왕:1674년 비:1684년 |
쌍릉 |
19 | 명릉(明陵) | 제19대 숙종과 1계비 인현왕후,2계비 인원왕후 | 왕:1720년 1계비:1701년 2계비:1757년 |
동원이강릉 |
익릉(翼陵) | 제19대 숙종원비 인경왕후 | 1680년 | 단릉 | |
20 | 의릉(懿陵) | 제20대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 | 왕:1724년 비:1730년 |
동원상하릉 |
혜릉(惠陵) | 제20대 경종원비 단의왕후 | 1718년 1720년(봉릉) | 단릉 | |
21 | 원릉(元陵) | 제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 | 왕:1776년 비:1805년 |
쌍릉 |
홍릉(弘陵) | 제21대 영조원비 정성왕후 | 1757년 | 단릉 | |
추존 | 영릉(永陵) |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순소황후 | 왕:1728년 비:1751년 1776년(봉릉) |
쌍릉 |
추존 | 융릉(隆陵) | 추존 장조의황제와 헌경의황후 | 왕:1789년(이장) 비:1815년 1899년(봉릉) |
합장릉 |
22 | 건릉(健陵) | 제22대 정조선황제와 효의선황후 | 왕:1821년(이장) 비:1821년 |
합장릉 |
23 | 인릉(仁陵) | 제23대 순조숙황제와 순원숙황후 | 왕:1856년(이장) 비:1857년 |
합장릉 |
추존 | 수릉(綏陵) | 추존 문조익황제와 신정익황후 | 왕:1855년(이장) 비:1890년 |
합장릉 |
24 | 경릉(景陵) | 제24대 헌종성황제와 원비 효현성황후와계비 효정성황후 | 왕:1849년 원비:1843년 계비:1904년 |
삼연릉 |
25 | 예릉(睿陵) | 제25대 철종장황제와 철인장황후 | 왕:1864년 비:1878년 |
쌍릉 |
26 | 홍릉(洪陵) | 대한제국 1대 고종태황제와 명성태황후 | 제:1919년 후:1919년(이장) |
합장릉 |
27 | 유릉(裕陵) | 대한제국 2대 순종효황제와 원후 순명효황후와계후 순정효황후 | 제:1926년 원후:1926년(이장) 계후:1966년 |
합장릉 |
Compiled & Written by
Dr. Young-Gwan Kim, Academic Dir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