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황실궁능 / 종묘 / 사직단 / 환구단 / 박물관
Daehan Imperial Household
- 왕실황실궁능 / 종묘 / 사직단 / 환구단 / 박물관
- 별궁/잠저
- 경모궁-경덕궁-계동궁
경모궁(景慕宮)-함춘원(含春苑)
<일본 동경대학의 분교 경성제국대학[현 서울대] 설치 이전 경모궁지의 모습>
경모궁은 조선 장조대왕의 사당이 있던 곳으로 지금의 서울대 의과대학 부속병원 부근 일대에 있던 함춘원의 옛터입니다. 지금은 함춘문(含春門)과 석단(石壇)만이 남아 있습니다.
<멸실된 궁담과 쪼개진 석단만이 남아 철근콘크리트빌딩에 둘러싸여 있는 경모궁 현재의 모습>
<방치돼 있는 경모궁 석물잔해들과 기왓장들>
함춘원은 성종15년(1484) 창경궁을 창건하면서 풍수지리설에 의해 궁궐 동편의 지세를 보강하기 위해 나무를 심고 담을 둘러 잡인의 출입을 금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성종24년(1493) 2월 함춘원이란 이름이 붙여져 창경궁 부속 후원(後苑)이 되었습니다.
<경모궁배치도>
연산군 때에는 함춘원 담장 밖 높은 지역의 민가를 철거하여 구역을 확장했고 기묘한 화초를 심어 더욱 심원하고 엄숙하게 했습니다. 담 밖에는 별정군(別定軍)을 배치하여 일반인의 통행을 금했고 대문과 함께 함춘원 북쪽에 성을 쌓기도 했습니다. 그 후 중종대왕은 철거당한 사람들을 다시 돌아와 살게 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덕빈(德嬪)의 시신(屍身)이 임시로 매장되는 등 함춘원의 관리가 소홀해졌고 인조대왕 때에는 함춘원의 절반을 태복사(太僕寺)에 나눠주면서 이후 140여 년 간 방마장(放馬場)으로 사용됐습니다.
<경모궁의궤, 1784년>
영조40년(1764)에 북부 순화방(順化坊)에 있던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사당인 수은묘(垂恩廟)를 이곳에 옮겨지었고 영조52년(1776) 정조대왕이 즉위하자 수은묘를 경모궁으로 고쳐 불렀습니다. 이때 정조대왕께서 친히 편액(扁額)을 써 달았으며 서쪽에 일첨(日瞻)·월근(月覲) 두 문을 내어 창경궁 쪽의 문과 서로 통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정조9년(1785) 8월 경모궁과 사도세자의 원묘(園墓)에 대한 의식절차를 적은 궁원의(宮園儀)를 완성하여 이 일대를 정비했습니다. 헌종5년(1839) 12월 봉안각(奉安閣)이 소실됐으나 곧 중건됐습니다.
광무3년(1899) 8월 사도세자를 장종(莊宗)으로 존호를 올리면서 경모궁에 있던 장종의 신위를 종묘(宗廟)로 옮기게 되자 경모궁은 그 기능을 잃게 됐습니다. 이로 인해 경모궁 내에 있던 망묘루(望廟樓)는 북부 순화방에 있던 장종의 생모 영빈(暎嬪)이씨의 사당인 선희궁(宣禧宮) 경내로 옮겼고 이름을 평락정(平樂亭)이라 했습니다. 망묘루에 있던 정조·순조·익종·헌종·철종의 어진(御眞)을 옮겨 봉안하면서 경모궁은 경모전(景慕殿)으로 바꿨습니다. 광무4년(1900년) 경모궁 터에 태조·세조·성종·숙종·영조·순조 6성조 어진을 봉안했던 영희전(永禧殿)을 옮겼습니다.
1925년 일본은 함춘원 경모궁 터에 일본 동경대학의 분교형태인 경성제국대학(현 서울대)을 설치하면서 본래의 모습이 완전히 멸실되고 말았습니다.
<“헐려나가는 경모궁”제목의 1925년 6월21일 동아일보 기사>
<1925년 일제에 의해 처참히 헐려버린 경모궁>
<이렇게 처참히 헐려나간 경모궁터 위에 들어선 철근콘크리트빌딩 국립서울대병원>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경모궁 함춘문. 관람이 금지된 채 궁과 어울리지 않는 흉물스런 녹색 철재펜스 안에 갇혀있는 경모궁 내부.
황실을 예우하지 않고 방치하는 문화재청의 현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는 듯합니다.>
<경모궁 안내판입니다. 언제 만들어 놓은 건지 안내판 안 글씨는 거의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로 많이 훼손된 상태입니다.
문화재청 1년 예산이 수조원대인데 그 예산은 다 어디에 쓰고 있나요? 국민들이 당연히 알고 향유해야할 역사문화유산관람권리가 보장되지 않고 있는 현실입니다.>
<경모궁 주변에는 천 조각 코푼 휴지 담배꽁초 파란색 검은색 비닐봉지 마시다 버린 칸타타 레쓰비 커피캔 등 온갖 종류의 쓰레기들이 널려져 있습니다.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고 있는 국립 서울대의과대학의 조선왕실문화재관리 현 실태입니다. 도정궁 경원당을 옮겨와 역사탐방교육프로그램도 운영하며
깨끗이 잘 보존관리하고 있는 건국대학교와는 매우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서울대에서는 문화재청장을 비롯한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등을 많이 배출했습니다.
조선왕실과 대한제국황실의 역사를 부끄럽게 여기는 일제식민사관의 영향 때문일까요? 너무 부끄러운 모습입니다. 만약 경모궁의 원주인인 황실에 의해
보존관리 된다면 이렇게 무심하게 방치될까요? 이런 이유 때문에 문화재는 유네스코관리규약에 따라 문화재원소유자가 관리보존운영의 주체가 되어야 합니다
[Cf. 문화재청-건축도시공간연구소. “선진국 문화재 보존관리 규범현황 및 내용에 관한 연구.” 2014-12-26, 447].>
<경모궁터 바로 옆 서울대의과학관 앞은 먼지하나 없이 깨끗하게 청소되어 있습니다. 매일 쓸고 닦는지 에어컨실외기가 있는
이층 베란다에는 2개의 큰 파란색 하얀색 대모걸레자루가 건조를 위해 난간에 널려져 있습니다.>
경덕궁(敬德宮)
<경덕궁의 대문과 비각. 이외는 모두 멸시됐고 현재 터만 남아 있습니다.>
경기도 개성시에 있었던 태조고황제(이성계)의 두 잠저 중 하나로 추동궁(楸洞宮)으로도 불렸습니다. 태조3년(1394)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기까지 태조께서는 이곳에서 거주하셨습니다. 태조7년(1398)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수도를 한때 개성으로 다시 옮겼을 때 태종 또한 이곳에서 거주했습니다. 태종께서 한양으로 환도한 뒤에도 역대 제왕들은 개성을 방문하거나 근교의 제릉과 후릉을 참배하실 때 이곳에서 지냈습니다.
한양천도 후 행궁으로 쓰이다 임진왜란 때 불타 멸실됐습니다. 지금은 대문과 경덕궁 터였음을 알리는 비각만 남아 있습니다. 한명회가 궁지기로 있었고 단오 때는 개성의 부녀자들이 그네놀이를 했다 합니다. MBC드라마 《조선왕조 500년》의 첫 시즌인 《추동궁 마마》의 제목이 여기서 유래됐습니다.
하루속히 남북이 하나가 되어 북쪽에 있는 경모궁을 찾아가고 무너진 궁의 원형을 복원하는 날이 도래되길 기원해 봅니다.
계동궁(桂洞宮)
<문화콘텐츠닷컴에서 재현한 계동궁 배치도>
계동궁은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75번지(계동 147) 한성부 북부(北部) 관광방(觀光坊) 계동(桂洞)에 있었던 궁이었습니다. 사도세자의 서2남 연령군의 양손자 은신군의 제사를 받드는 종손인 완림군 이재원(흥선헌의대원왕의 조카이자 고종광무태황제의 사촌형)의 사저로 사손(嗣孫)들이 계속 살아 연령군가문의 종가가 되었습니다.
1884년 12월 5일 갑신정변 이튿날 고종황제께서 잠시 이곳으로 피신했습니다. 고종황제는 계동궁에서 새로운 개화파정부요인들을 천거했습니다. 집주인 이재원도 이 때 영의정으로 천거됐습니다.
계동궁에는 완림군 이재원과 이기용 그리고 의친왕의 7남으로 이기용(1889~1961)의 양자가 된 이해청(황실명 이경/이광[李鑛] 아명은 이형길[李亨吉]) 3대가 살았습니다. 계동궁은 1960년대 철거됐고 그 자리에 무지막지한 현대건설 철근콘크리트사옥이 들어섰습니다.
<이기용(1889~1961) 장조의 서자 은신군의 현손이며, 흥선헌의대원왕의 백형 흥녕군 이창응의 손자이며 계동궁의 사손입니다.
왜정 기 자작작위를 받았고 일본제국의회 상원인 귀족원의원을 지냈습니다. 1945년 8월 광복 후 박흥식
이종형 최린 이승우 이풍한에 이어 반민특위에 의해 1948년 1월 18일 이성근과 같은 날 검거됐습니다.
3차례에 걸쳐 공판 끝에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재산의 절반을 몰수당했습니다.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공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선정됐습니다.>
<계동궁 터에 들어선 철근콘크리트빌딩 현대사옥. 세종대왕 때 만들어진 조선시대 천문대[첨성대] ‘관상감
관천대’가 거대한 현대사옥건물 앞에 홀로 외로이 버티고 서있습니다. 계동궁은 파괴됐고 ‘관상감 관천대’는
파괴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가 국가보물 제1740호로 지정됐기 때문이랍니다.>
<‘관상감 관천대’[觀象監 觀天臺]표지판과 현대철근콘크리트빌딩 안에 묻혀있는 ‘관상감 관천대’>
<관천대 안쪽은 현대직원들이 김치찌개 된장찌개 제육볶음 같은 점심을 먹고 난 후 커피를 마시고 맛 담배를 피며 휴식을 취하는 곳이 됐습니다.
버려진 담배꽁초와 가래침이 국가보물 제1740호인 ‘관상감 관천대’ 주변에 널려져있습니다. 더럽고 구역질이나 관천대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엄두조차 못 냅니다. 이것이 오늘날 대한민국 문화재청의 국가보물문화재 관리현실입니다.>
<계동궁 터에 남아 있는 300년 넘은 느티나무[좌]와 게동궁터 일부[우]>
<계동궁 터를 알리는 비석과 길 건너편 운현궁 육사당. 육사당[六四堂]은 황실의 혼례준비와 상견례장소로 사용됐던 중요한 역사적 공간입니다.
운현궁과 계동궁 창덕궁은 한 구역으로 근접한 거리에 있었습니다. 일제가 조선왕실과 대한제국황실의 맥을 끈기 위해 도로를 내면서 당시
원형의 모습이 완전히 사라져버렸습니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는 일제의 이런 왜곡과 훼손에 복원과 치유의 손길을 내밀기보다는
이를 방치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무관심합니다. 길 건너 편 육사당도 곧 철거되어 무지막지한 철근콘크리트빌딩이 들어설 날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육사당 옆 운니동 65-1번지에는 운당(雲堂)여관이 있었습니다. 조선 순조대왕 시절, 궁중의 내관이 재목을 하사받아 지은 건물이었습니다. 이후 몇 번 주인이 바뀌었는데, 한국전쟁 중이던 1951년 가야금병창 예능보유자인 박귀희 선생과 남편 윤길병이 당시 한국 최고의 갑부였던 화신(和信)의 총수이며 친일파 기업인이었던 박흥식의 조카로 화신의 전무로 일하던 박병교로부터 인수한 집이었습니다.
<운당여관의 정문. 단층으로 낮게 깔린 아흔아홉 간 한옥이었습니다.>
경북 칠곡 출신의 박귀희(1921~1993) 선생은 어린 시절부터 국악을 좋아해 손광제의 국악교습소에 다니다가, 명창 이화중선에 발탁, 대동가극단에 들어갔습니다. 1937년 서편제 소리의 박동실 선생, 동편제 소리의 류성준 선생 등 기라성 같은 스승의 문하에서 판소리 다섯마당을 익혔고, 1940년 강태홍, 1942년 오태석으로부터 가야금 병창을 배웠습니다.
<한국기원이 치러진 계동궁 앞 명소로 당시 많은 사람들에게 삶의 소중한 정취를 쌓아 준 추억의 문화공간이었습니다.>
바둑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특히 그 옛날 조훈현 국수와 서봉수 국수의 대국을 기억하는 사람이라면, 동아일보가 주최하는 한국에서 가장 전통 있는 바둑 타이틀전이었던 국수전(國手戰)이 열리던 장소였던 운당여관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입니다.
<조훈현 시대의 서곡[상]. 조훈현VS이창호 28기 최고위전[아래]. 사진출처-한국기원>
박귀희 선생은 처음엔 가야금 병창보다는 판소리로 이름을 날렸습니다. 한양창극단에서 20여 년간 판소리에서 1급의 자리를 지켰고, 뒤늦게 그의 숨은 가야금 솜씨도 인정받아 1971년 가야금병창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예능보유자로 지정됐습니다.
<박귀희 선생 음반레코드. 사진출처-지구레코드>
이후 후진양성에 위해 1955년 한국민속예술학원을 설립했고 1960년에는 서울국악예술학교를 설립, 많은 후학들을 배출했습니다. 만년에 사저인 운당여관과 전 재산을 학교에 기부했습니다.
1951년 박귀희 선생과 남편 윤길병은 운니동 한옥을 구매한 후, 이웃한 시인 한상억 선생의 집을 포함하여 3~4채를 합쳐서 1958년부터 이름을 ‘구름 속에 있는 집’ 혹은 ‘스님들이 좌선하는 집’을 뜻하는 ‘운당’(雲堂)이라 짓고 여관을 운영했습니다. 1960년에는 정릉에 있던 순종의 비 순정효황후의 별장도 이전 복원하면서 450평 한옥에 31개 객실을 가진 여관으로 확장됐습니다.
박 선생은 1989년 운당여관을 국악예술고 재단에 기부할 때까지, 약 31년간 서울의 전통명소 중에 하나였던 운당여관을 직접 경영했습니다. 운당여관은 싸고 저렴하면서도 주택가에 위치하여 조용한 것이 특징이었습니다. 특히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의 사랑을 받았던 전통 숙박시설로 알려졌습니다.
<운영여관에서 촬영된 박귀희 선생. 사진출처-향사박귀희명창기념사업회>
운당의 가옥 구조는 서울 경기지방의 전통 사대부 가옥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문간채와 사랑채, 안채, 곡간채, 행랑채, 별당으로 이루어졌으며 각각은 협문으로 이동하게 되어있었습니다.
<남양주종합촬영소에 이전-복원된 한옥세트장 ‘운당’>
1989년 2월까지 운영되었으며, 현재 운당의 일부는 경기도 남양주종합촬영소로 이전 복원되어 세트장으로 쓰이고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계동한옥체험관으로 이전 복원되었고, 그 나머지는 그 자리에 남아 식당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운당여관이 헐린 터에는 현재는 10층 규모의 낡은 오피스텔이 들어섰습니다(Cf. “운당여관을 아시나요? 바둑과 운니동의 운당여관 이야기,” 오마이뉴스 2009-07-15).
<운당여관 자리에 여지없이 들어선 네모 반듯 철근콘크리트오피스텔빌딩>
<계동궁 길 건너편 창덕궁 정문 앞에는 여지없이 현대계열사가 만든 5층짜리 철근콘크리트빌딩이 2018년 들어섰습니다.
이 철근콘크리트빌딩이 들어선 곳은 비변사와 통례원이 있던 곳으로 신축 당시 궁궐 내에서 만 볼 수 있는 우물터 7개가
발견됐습니다. 당당히 문화재청의 심의를 거처 건축됐다 합니다. 발굴된 유물들 위에 유리판을 깔아 보존한다는 방식으로
결국 철근콘크리트빌딩이 들어서고 말았습니다. 이런 식이면 종로 안에서 발굴되는 모든 조선왕실유적들은 원형보존은
고사하고 유리판만 깔면 어떤 형태의 빌딩신축도 ‘가능하다’ 라는 선례를 문화재청 스스로 만들고 말았습니다. 문화재청의
이런 행태에 분노한 와룡동 익선동 주민들이 2019년 국민신문고에 이 5층짜리 철근콘크리트빌딩 신축에 인허가를 내준
종로구 공무원들과 문화재청문화재심의위원들의 처벌을 고하는 청원을 내려했었습니다.>
<비변사 우물터 위에 깔린 유리판. 원형보존을 해도 시원치 않을 소중한 조선왕실 문화유적 발굴공간은 이렇게 유리가 깔려
그 위에서 사람들이 문화재를 밟고 앉아 커피와 빵을 쪼개 먹으며 박장대소하는 공간이 됐습니다. 역시 돈과 권력 앞에서는
수 백 년 된 문화유산도 다 무의미한 허울뿐입니다. 이것이 21세기 현재 천민졸부재벌자본주의가 판을 치고 있는 대한민국의 현실입니다.>
<계동궁터 주변 문화유적발굴공간에 여지없이 남겨진 문화유적무덤표지석들. 너무 효율적입니다.
문화재원형복원이 귀찮고 시간도 돈도 많이 드니 간단히 표지석하나 덜렁 남겨놓으면 모든 일이 쉽고 간단합니다.>
<계동궁 터 옆 계동 146번지에 남아 있는 한옥. 이 한옥은 1934년 무렵에 지어진 것으로 을사늑약 체결을 끝까지 거부하다가
감금된 의정부 참정대신 한규설(韓圭卨)의 손자 한학수 (韓學洙, 1907~1992)가 살던 집입니다. 현재는 임대상업시설들과
대형카페가 들어섰습니다. 카페에서는 각종 설탕 범벅이 빵들과 온갖 종류의 음료들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가격이 꾀 비싼 편입니다.
주중 주말 할 것 없이 젊은 사람들로 넘쳐납니다.>
Compiled & Written by
Dr. Young-Gwan Kim, Academic Dir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