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황실문화원

황실계보

Daehan Imperial Household

의친왕비(義親王妃 德仁堂 金氏, 1880~1964)

<인목대비의 친정아버지 연흥부원군 김제남의 11대 후손인 의친왕비의 혼례당시 사진.
출처-이해경 나의 아버지 의친왕>

출생과 혼례

의친왕비께서는 연안김씨 김사준(金思濬)의 따님으로 대한제국 황자 의친왕 이강 전하의 비십니다. 경기도 고양에서 출생하셨고 1881년 한성부에 이주하여 한성부에서 성장하셨습니다. 1886년 김수덕에서 김숙으로 개명하셨고 5년 후 1893년 12월 6일 의화군 이강(義和君 李堈)과 혼인하시어 연원군부인(延原郡夫人)에 봉해졌습니다.

1900년 부군 의화군이 의친왕(義親王)으로 봉해지자 군부인(君夫人)에서 친왕비(親王妃)로 개봉되셨습니다. 이후 1907년 7월 20일 시아버지 고종광무태황제께서 이복 시아주버니 순종(純宗)께 선위하신 것과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를 목도하셨고, 1945년 8.15광복과 1950년 6.25 등을 겪으셨습니다.

의친왕 자녀 공식 왕비자녀로 입양

일제와 친일역적매국노들은 의친왕의 자손 중 큰아들 건과 둘째아들 우 2명만을 황실족보에 올렸습니다. 나머지 자녀들은 황실 근친 가문에 강제로 입양시켜 족보상에는 황족이 아닌 사생아로 만들었습니다.

<의친왕비와 황손 이건>

의친왕비는 이런 일제의 만행에 맞서 의친왕과의 사이에서 소생이 없으셨지만 의친왕의 아이들을 낳은 후궁들에게 수관당, 수인당, 수현당, 수경당, 수덕당, 수완당, 수길당이라는 당호(堂號, 후궁이 거처하는 전각이나 집의 이름으로 공식적인 후궁이 됐음을 의미하는 궁중의 법도)를 내리셨습니다. 동시에 후궁들이 낳은 아이들을 정리하여 의친왕의 공식적인 자녀들로 입적하셨습니다. 1922년 8남 경길의 모친 수경당을 마지막으로 1930년 이후에는 당호를 내리지 않으셨습니다. 이는 정세변동으로 왕권에 대한 희망을 포기한 것으로 해석하는 시각이 있습니다. 현재 인정된 자녀는 총 12남 9녀입니다.

<의친왕의 자녀들, 상단 좌부터 5남 수길, 장녀 해완, 4남 창길, 3남 홍길, 하단 좌부터 6남 명길, 차녀 해원. 사진출처-해원왕녀 소장자료>

<좌측사진 상단 좌부터 3남 홍길, 이상궁, 박상궁, 4남 창길, 하단 좌부터 장녀 해완, 4녀 해숙, 7남 형길,
의친왕비 연안김씨 큰(지밀)어머님, 8남 경길, 차녀 해원, 3녀 해춘. 우측은 명길황손 결혼식사진. 출처-해원왕녀 소장자료>

<운현궁 노안당 앞뜰에 모인 의친왕의 후손들. 앞줄 좌로부터 수길, 경길, 수덕당 둘째 형부 이승규, 이문동 언니 형부 박찬범, 창길, 운현궁 이우왕자, 홍길, 수덕당 큰형부 정운조,
명길, 뒷줄 우로부터 두 번째 해경, 길순, 홍길의 처, 이우왕자의 처 박찬주, 창길의 처, 길연, 해원, 길영. 출처-이해경 『나의 아버지 의친왕』>

의친왕의 항일독립투쟁내조

의친왕비는 후덕한 성품으로 헌신적으로 의친왕의 항일독립투쟁을 음으로 양으로 내조하셨습니다. 의친왕의 5녀 해경왕녀께서는 저서 『마지막 황실의 추억』 제5부 “나의 어머니 의친왕비”에서 의친왕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술회하셨습니다:

아버지께서는 여러 여자가 낳은 아이들의 양육문제를 모두 지밀(至密, ‘은밀하고 비밀스럽다’는 뜻으로 왕과 왕비의 거처 즉 궁궐의 가장 깊은 곳 안방을 가리키는 궁중용어로 여기에서 지밀은 의친왕비를 지칭) 어머니께 맡기셨다. 아버지 의친왕의 자녀들은 대개 궁 밖에서 생모와 살았다. 하지만 생모가 일찍 세상을 떠나거나 사정이 있어서 생모가 기르지 못하는 아이들은 어머니 의친왕비께서 거둬 주셨다.
나를 비롯하여 큰오빠 건, 7남 형길이 어머니께서 길러 준 아이들이었다. 9남 충길(황태자 이원의 친부)이는 아버지께서 돌아가시고 내가 미국으로 떠난 후 몇 년 동안 어머니께서 데리고 사셨다고 한다.
지밀 어머니께서는 ‘전하의 아기들’이라며 우리를 소중히 여기셨다. 아기들을 일일이 돌봐 주시는 것은 물론 생모들에게까지 마음을 써주셨다...지밀 어머니께서는 ‘의친왕 전하’를 위하여 태어났고 그분만을 위하여 살다 가신 분이다(이해경, 『마지막 황실의 추억』, 275).

<의친왕비께서 후손들에게 남기기 위해 친필로 쓰신 유훈형식의 글. 이 유언장에 후실들에 대해 “수관당 정씨, 수인당 김씨, 수덕당 이씨, 내가 친히 기른
사람들이고 내 좋은 동무들이다. 수길당, 수완당, 수경당, 수현당, 다 각 궁의 시녀상궁”이라 기록하셨습니다. 이해경, 『마지막 황실의 추억』, 277.>

천주교귀의

1955년 8월 15일 장면을 대부(代父)로 의례(儀禮)를 삼아 의친왕 전하와 함께 '마리아'라는 세례명을 받으시고 천주교에 귀의하셨습니다. 세례 받았을 때 의친왕비의 연세는 76세였습니다.

<의친왕비 영세기념 사진[좌]. 출처-평화방송. 서울 가회동성당 본당에 보관되어 있는 의친왕과 의친왕비의 세례대장[우]. 출처-가회동성당>

의친왕 전하의 훙서 후 의친왕비와 유족들은 이승만정부의 냉대 속에서 안동별궁을 떠나 흩어져야만 했습니다. 한동안은 화양리에 있던 의친왕 재실(齋室)에서 지내시다, 5.16 이후 종로구 궁정동 칠궁(七宮)으로 옮기셨습니다. 그곳은 조선 후궁들의 위패를 모신 곳이었으나, 격을 따질 형편이 아니셨습니다. 생활은 여전히 곤궁했고 망국 왕족의 삶이 편할 리 없으셨습니다.

<의친왕비께서 생애 마지막 2년여를 보내신 칠궁.>

<1963년 영친왕비 뵙기 전 한복차림의 의친왕비. 출처-해경공주>

훙서

의친왕비께서는 새벽 4시에 일어나 산책을 하셨고 묵주기도와 함께 <준주성범>을 외우시며 신앙생활에 전념하시다 1964년 1월 14일 85세로 훙서하셨습니다.

<의친왕비 80세 생신 때 모인 의친왕의 후손들>

빈소는 쓸쓸했습니다. “빈소에는 박 대통령이 조화를 보내왔고, 방자(方子)여사와 노기남 대주교가 찾아와 명복을 빌었다”라고 1964년 1월 15일자 『동아일보』기사에 의친왕비 의죽음을 짤막하게 보도했습니다. “그의 빈소에는 15일 상오 박 대통령과 고 문교장관이 보낸 조화가 놓여 있었으며, 수녀들 7,8명이 궁정복으로 정장한 김비의 영정을 두고 사도예절을 올리고 있었다”라고 1964년 1월 15일자 『경향신문』역시 의친왕비의 훙서를 짤막하게 보도했습니다.

장례는 7일장이었습니다. 20일 오전 10시 명동대성당에서 노기남 대주교가 영결미사를 집전했습니다. 의친왕비는 시아버지 고종광무태황제의 홍릉과 시아주머니 순종융희황제의 유릉 근처인 남양주시 금곡동 묘역에 안장되셨습니다. 지금은 해경왕녀의 노력으로 부군 의친왕과 합장되셨습니다.